“아내가 억대연봉이란 건 기분이… 좋지만은 않습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상담소 댓글 0건 조회 3,264회 작성일 07-01-24 15:03본문
회사원 나민호(가명·43)씨는 3년 전만 해도 ‘참 착한 남자’였다. 중학생, 초등생 두 남매의 자상한 아빠였고, 동갑내기 아내 이미영(가명·43)씨의 둘도 없는 반려였다. 그랬던 그가 폭력을 휘두르기 시작한 건 ‘여왕의 돈’ 때문이다. 아이들 사교육비를 벌겠다며 보험회사 영업사원으로 들어간 아내는 3년 만에 1억원대 연봉자, 일명 ‘여왕’의 반열에 올라섰다. 처음엔 아내가 고맙고 기특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기분이 묘했다. 아내의 당당해진 목소리, 날로 세련되어가는 옷차림, 잦은 회식…. 자정이 다 돼 들어온 아내에게 처음 손찌검을 한 뒤 술만 마시면 폭력을 휘두르는 남자가 되고 말았다.
◆‘트로피 남편’이 행복하다고?
여성들 경제활동이 왕성해지고, 남편보다 고소득을 올리는 아내들이 많아지면서 ‘경제권력’이 부부관계의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지난해 대한민국에 새로 만들어진 고소득 일자리 10개 중 7개(통계청 조사)를 여자들이 차지했고, 미국에선 남편보다 수입이 많은 아내가 3분의 1을 넘어섰다. 남자들은 성공한 아내를 뒷바라지한다는 뜻의 ‘트로피 남편’ 되는 게 소원이라고 허풍을 떨지만, 막상 연봉액수를 추월 당하면 ‘목숨과도 같은’ 자존심이 고개를 쳐드는 건 당연지사. 한국가정법률상담소 박소연 상담위원은 “상담소를 찾는 부부의 100쌍 중 25쌍이 부부갈등의 원인으로 ‘경제 요인’을 꼽는다. 그 중에서도 ‘밥벌이는 남자가 해야 한다’는 가부장적 의식이 젊은 남성들에게도 여전히 남아 있어 폭력의 원인이 된다”고 말했다.
◆도망가거나, 폭력을 휘두르거나?
부부치료 전문가인 ‘HD가족클리닉’ 최성애 박사는 “부부의 행복도는 둘이 버는 연봉 총액이 아니라 ①서로의 내면을 얼마나 잘 알고 있는지 ②서로의 존재를 얼마나 즐거워하는지 ③일상의 자잘한 욕구에 대해 서로 어떻게 표현하고 받아들이는가에 의해 결정된다”고 말한다.
“부부관계 치료의 세계적 권위자인 워싱턴 대학 존 가트맨(John Gottman) 교수와 에이미 골드슈타인(Amy Golds tein) 같은 분들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가계 수입의 대부분을 아내가 번다 해도 이혼과는 무관한 것으로 나타납니다. 누가 얼마를 버느냐가 중요한 게 아니라 이 문제를 부부가 ‘어떻게’ 보느냐가 중요한 거죠.”
이혼을 심각하게 고려 중인 나씨 부부의 경우, 아내가 보험회사에서 일한 지난 3년간 둘만의 오붓한 시간이 하루에 단 10분도 없었고, 서로 감사와 호감을 표현해본 적도 없다는 게 위기의 가장 큰 원인이었다.
◆‘현금 통장’보다 ‘사랑 통장’이 소중하죠
열쇠는 아내가 쥐고 있다. 사소한 일상에서도 ‘여왕’은 남편의 일거수일투족을 배려해야 한다. 다른 사람들과 함께 음식점에 갔을 경우 남편을 제치고 자신이 계산하겠다며 앞장서는 것은 금물. 시댁 어른들께 용돈을 드릴 때도 ‘남편의 이름으로, 남편의 손을 통해’ 겸허하게 전달하는 아량이 필요하다. 최 박사는 각자 관리하는 통장 외에 ‘공동통장’을 만들어 남편이 관리하게 유도하는 것도 여왕의 지혜라고 귀띔한다. “‘내가 벌었으니까 내가 쓴다’는 사고방식은 관계를 점점 더 멀어지게 해요. 부부는 재정통장뿐 아니라 정서통장도 함께 쌓아가야 사랑의 균형을 이룰 수 있어요.”
집에서도 둘이 동시에 일에 치중하는 상황은 가능한 한 피하는 게 좋다. 한 쪽이 일에 매진할 때 다른 쪽이 자녀와 보내는 시간을 가지면서 양보와 타협의 분위기를 조성할 것. 박소연 위원은 “어느 날 뜬금없이 남편에게 집을 공동명의로 하자고 선언하면 남자 쪽에서는 기득권을 빼앗긴다는 위기감에 반발하기 마련”이라며 “새로 부동산을 취득하거나 이사를 갈 때, 또는 아예 신혼 초에 기회를 잡아서 진지하게 상의하라”고 조언한다.
◆농담 따먹기, ‘家長 콤플렉스’ 탈출하기
일선 남편들의 충고도 귀담아들을 만하다. 듀오 광고팀장이면서 ‘대한민국 유부남 헌장’의 저자인 김상득씨는 ‘가장 콤플렉스’를 내려놓자고 주장한다. “아내를 자신이 부양해야 할 식솔로 생각하는 것, 그래서 남자가 경제적으로 더 많이 벌어야 하고 사회적 지위도 더 높아야 한다는 강박을 벗어 던지자”는 것이다. “내가 모자란 부분을 파트너가 채워준다는 생각으로 살면 마음 편합니다.”
무협지 작가이며 ‘마님 모시는 삼돌이’로 유명한 ‘좌백’ 장재훈씨는 “모든 일의 좋고 나쁨을 연봉의 많고 적음으로 치환하는 사고방식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한다. “일은 단지 돈 때문에 하는 게 아니라 자기 완성의 길이기도 하잖습니까. 그 일을 얼마나 잘 하는지, 보람은 있는지에 대해 고민해야지, 연봉이 많고 적은 게 뭐 그리 큰 문제일까요?” 최근 부부 생활 비법을 재기발랄한 유머로 풀어낸 ‘부부만담’에서 장씨는 부부 사이 ‘농담 따먹기’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하루 하나씩 아내, 혹은 남편에게 해줄 농담을 수집하세요. 싸움은 지나치게 진지한 대화에서 출발하거든요. 특히 맞벌이 부부의 경우 스트레스를 배우자에게 풀기 쉬운데, 이를 농담으로 주고받으면 분위기가 한결 부드러워집니다.”
[김윤덕기자
◆‘트로피 남편’이 행복하다고?
여성들 경제활동이 왕성해지고, 남편보다 고소득을 올리는 아내들이 많아지면서 ‘경제권력’이 부부관계의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지난해 대한민국에 새로 만들어진 고소득 일자리 10개 중 7개(통계청 조사)를 여자들이 차지했고, 미국에선 남편보다 수입이 많은 아내가 3분의 1을 넘어섰다. 남자들은 성공한 아내를 뒷바라지한다는 뜻의 ‘트로피 남편’ 되는 게 소원이라고 허풍을 떨지만, 막상 연봉액수를 추월 당하면 ‘목숨과도 같은’ 자존심이 고개를 쳐드는 건 당연지사. 한국가정법률상담소 박소연 상담위원은 “상담소를 찾는 부부의 100쌍 중 25쌍이 부부갈등의 원인으로 ‘경제 요인’을 꼽는다. 그 중에서도 ‘밥벌이는 남자가 해야 한다’는 가부장적 의식이 젊은 남성들에게도 여전히 남아 있어 폭력의 원인이 된다”고 말했다.
◆도망가거나, 폭력을 휘두르거나?
부부치료 전문가인 ‘HD가족클리닉’ 최성애 박사는 “부부의 행복도는 둘이 버는 연봉 총액이 아니라 ①서로의 내면을 얼마나 잘 알고 있는지 ②서로의 존재를 얼마나 즐거워하는지 ③일상의 자잘한 욕구에 대해 서로 어떻게 표현하고 받아들이는가에 의해 결정된다”고 말한다.
“부부관계 치료의 세계적 권위자인 워싱턴 대학 존 가트맨(John Gottman) 교수와 에이미 골드슈타인(Amy Golds tein) 같은 분들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가계 수입의 대부분을 아내가 번다 해도 이혼과는 무관한 것으로 나타납니다. 누가 얼마를 버느냐가 중요한 게 아니라 이 문제를 부부가 ‘어떻게’ 보느냐가 중요한 거죠.”
이혼을 심각하게 고려 중인 나씨 부부의 경우, 아내가 보험회사에서 일한 지난 3년간 둘만의 오붓한 시간이 하루에 단 10분도 없었고, 서로 감사와 호감을 표현해본 적도 없다는 게 위기의 가장 큰 원인이었다.
◆‘현금 통장’보다 ‘사랑 통장’이 소중하죠
열쇠는 아내가 쥐고 있다. 사소한 일상에서도 ‘여왕’은 남편의 일거수일투족을 배려해야 한다. 다른 사람들과 함께 음식점에 갔을 경우 남편을 제치고 자신이 계산하겠다며 앞장서는 것은 금물. 시댁 어른들께 용돈을 드릴 때도 ‘남편의 이름으로, 남편의 손을 통해’ 겸허하게 전달하는 아량이 필요하다. 최 박사는 각자 관리하는 통장 외에 ‘공동통장’을 만들어 남편이 관리하게 유도하는 것도 여왕의 지혜라고 귀띔한다. “‘내가 벌었으니까 내가 쓴다’는 사고방식은 관계를 점점 더 멀어지게 해요. 부부는 재정통장뿐 아니라 정서통장도 함께 쌓아가야 사랑의 균형을 이룰 수 있어요.”
집에서도 둘이 동시에 일에 치중하는 상황은 가능한 한 피하는 게 좋다. 한 쪽이 일에 매진할 때 다른 쪽이 자녀와 보내는 시간을 가지면서 양보와 타협의 분위기를 조성할 것. 박소연 위원은 “어느 날 뜬금없이 남편에게 집을 공동명의로 하자고 선언하면 남자 쪽에서는 기득권을 빼앗긴다는 위기감에 반발하기 마련”이라며 “새로 부동산을 취득하거나 이사를 갈 때, 또는 아예 신혼 초에 기회를 잡아서 진지하게 상의하라”고 조언한다.
◆농담 따먹기, ‘家長 콤플렉스’ 탈출하기
일선 남편들의 충고도 귀담아들을 만하다. 듀오 광고팀장이면서 ‘대한민국 유부남 헌장’의 저자인 김상득씨는 ‘가장 콤플렉스’를 내려놓자고 주장한다. “아내를 자신이 부양해야 할 식솔로 생각하는 것, 그래서 남자가 경제적으로 더 많이 벌어야 하고 사회적 지위도 더 높아야 한다는 강박을 벗어 던지자”는 것이다. “내가 모자란 부분을 파트너가 채워준다는 생각으로 살면 마음 편합니다.”
무협지 작가이며 ‘마님 모시는 삼돌이’로 유명한 ‘좌백’ 장재훈씨는 “모든 일의 좋고 나쁨을 연봉의 많고 적음으로 치환하는 사고방식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한다. “일은 단지 돈 때문에 하는 게 아니라 자기 완성의 길이기도 하잖습니까. 그 일을 얼마나 잘 하는지, 보람은 있는지에 대해 고민해야지, 연봉이 많고 적은 게 뭐 그리 큰 문제일까요?” 최근 부부 생활 비법을 재기발랄한 유머로 풀어낸 ‘부부만담’에서 장씨는 부부 사이 ‘농담 따먹기’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하루 하나씩 아내, 혹은 남편에게 해줄 농담을 수집하세요. 싸움은 지나치게 진지한 대화에서 출발하거든요. 특히 맞벌이 부부의 경우 스트레스를 배우자에게 풀기 쉬운데, 이를 농담으로 주고받으면 분위기가 한결 부드러워집니다.”
[김윤덕기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